제주 번개라이딩(flashing mtb Riding Crew)

길이 아니라도 좋다, 산이라면 더욱 좋다

新탐라순력(Bike Tour JeJu)/Bike Tour JeJu-200 23

탐라 Bike Tour 23(인성-사계-화순-덕수리)

1. 인성리(仁城里)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대정읍에 속하는 법정리. 조선 선조 중엽에 대정현성 일대를 동성리와 서성리로 나누어 부르다가, 1864년 동성리가 인성리와 안성리로 분리되었다. 대정현성(城) 일대에 자리 잡은 데서 유래한 것으로 추정되나, 인성리(仁城里)라는 명칭이 정확하게 어디에서 유래했는지는 아직 알려지지 않고 있으나, 대정현이 설치되고, 대정현성이 축조되면서 풍천 임씨와 나주 정씨, 여산 송씨 등이 들어와 살면서 본격적으로 마을이 형성된 것으로 알려진다.  1880년(고종 17) 대정현 우면 인성리가 되었으며, 1914년 제주군 대정면 인성리가 되었다. 2006년 제주특별자치도가 출범하면서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대정읍 인성리가 되었다. 자연마을로 천미동이 있다. 인성리는 전체적으로 해..

탐라 Bike Tour 22(수산-용흥-하가-신엄-중엄-구엄-고내리)+90

1. 수산리(水山里)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애월읍에 속한 행정리. 이름은 믈메 또는 물미이다. 수산(水山)은 물메의 한자 차용 표기이다. 정상에 물이 있는 물메오름[水山峯,수산봉] 주변에 형성된 마을이라는 데서 수산리라 하였다. 1914년 행정 구역 개편에 따라 수산리가 되었다. 1980년 12월 1일에 애월면에서 애월읍으로 승격되었다.  자연환경으로 한라산 정상에서 서북쪽으로 약 17㎞ 지점에 위치하고 있으며 해발 70m 전후의 저지대를 이루고 있다. 북서쪽에 물메오름(수산봉)이 위치하고 있으며, 가까이 수산저수지가 있어 농업용수를 제공하고 있다. 수산봉 남쪽엔 천연기념물 제441호인 수산곰솔이 자리잡고 있으며 마을의 상징물로 되어 있다.[출처] 한국학중앙연구원 - 향토문화전자대전    2. 하가리(下..

탐라 Bike Tour 21(동일리-일과리-하모리-상모리)+83

1. 동일리(東日里)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대정읍에 속하는 법정리. 동일리의 옛 이름은 날궤, 날웨, 알날웨, 동날웨이고, 소금졸래기·난덕포라고도 하였다. 일과리의 동쪽 마을이라는 의미에서 유래한 것으로 추정되나 아직 정확하게 알려진 것이 없다. 동일리는 1416년(태종 16) 대정현이 설치될 때 대정현에 속해 있던 지역으로, 지금부터 500여 년 전에 마을이 생긴 것으로 추정되며, 1946년 제주도제가 실시될 때 제주도 남제주군 대정면 동일리가 되었고, 1956년 대정면이 대정읍으로 승격되면서 제주도 남제주군 대정읍 동일리가 되었다. 2006년 제주특별자치도가 출범하면서 남제주군이 서귀포시에 통합되어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대정읍 동일리가 되었다. 자연마을로는 동일1리에 상동·하동이 있고, 동일2리에..

탐라 Bike Tour 20(무릉리-고산리-신도리-영락리)+79

1. 무릉리(武陵里)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대정읍에 속하는 법정리. 무릉리(武陵里) 또는 도원리(挑源里) 등의 명칭이 쓰인 것으로 보아 중국의 고사인 ‘무릉도원(武陵桃源)’에서 유래된 것으로 보인다. 무릉리는 1416년(태종 16) 대정현이 설치되었을 때 대정현에 속해 있던 지역으로, 19세기 중반 무릉리라 하여 분리되었다. 1946년 제주도제가 실시될 때 제주도 남제주군 대정면 무릉리가 되었으며, 1950년에는 사장밧 일대를 무릉1리, 사기소·고밧치·인향이·인행이·인앵이 일대를 무릉2리로 하였다. 1956년 대정면이 대정읍으로 승격되면서 제주도 남제주군 대정읍 무릉리가 되었으며, 2006년에 제주특별자치도가 출범하면서 남제주군이 서귀포시에 통합되어,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대정읍 무릉리가 되었다. 자..

탐라 Bike Tour 19(감산-대평-하예-상예-상창-창천리)+75

첨부 gpx 경로파일과 실제 경로가 약간 다를 수 있습니다. 실제 경로와 첨부 gpx파일 경로가 약간 다를 수 있습니다. 1. 감산리(甘山里)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안덕면에 속하는 법정리. 감산리는 조선 중기에 제주 고씨의 선조가 현재의 감산리 서동 묵은터에 정착하면서 형성되었다고 하며, 완만한 구릉성 지대로 이루어져 있는 마을이다. 감산리의 옛 이름은 감산이다. 산 모양이 귤[柑]처럼 생겼다는 데서 유래하였다는 설이 있으나, 감산을 민간에서 신산악, 신산이라고도 부르는 것을 볼 때 ‘감’은 신성한 곳을 뜻하는 것과 관련이 있는 듯하다. 감산리는 1416년(태종 16) 대정현이 설치될 때 대정현에 속해 있던 지역으로, 조선 시대 대정현의 행정 치소였다. 1574년(선조 7)경 제주 고씨의 선조가 제주성..

탐라 Bike Tour 18(금능-월림-금악-상명-협재리)+69

1. 금능리(金陵里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한림읍에 속한 행정리. 옛 이름은 베렝이다. 베렝이는 벌레의 뜻인지는 확실하지 않으며, 마을 안에 있는 속칭 금동산이라는 이름에서 따와 배령리(盃令里)라 하였다고도 한다. 오래전 비양도가 용출하기 전부터 사람이 살았을 것으로 추정되나 18세기 중후반까지는 행정 단위의 마을로 인정받지 못하였으며, 1900년대 초반까지 베렝이[盃令]라는 독립된 마을로 있었고, 배렝이·배령이·배령 또는 금릉이라 하였는데, 1914년 행정 구역 폐합에 따라 금능리가 되었다. 2007년 7월 1일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한림읍에 속한 마을이 되었다. 협재리와 접하며 한라산 방향으로 길게 뻗어 있는 모습을 하고 있다. 대부분 해발 고도 100m 이하의 평지를 이루고 있으며 바닷가에 금능해..

탐라 Bike Tour 17(고성리-온평리-신양리-성산리)+64

1. 고성리(古城里)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성산읍에 속하는 법정리. 고성리는 ‘옛 성이 있었던 마을’이라는 의미이며, 옛 이름은 옛성 또는 고성이다. 조선 초기 정의현의 읍성을 이 곳에 처음 세웠다가 성읍으로 옮겼기 때문에, ‘고성’이라는 명칭이 붙여졌다. 1935년에는 정의면이 성산면으로 개칭되면서 제주군 성산면 고성리가 되었고, 1951년에는 고성리에서 신양리가 행정리로 분리되었으며, 1980년 성산면이 성산읍으로 승격되어, 성산읍 성산리가 되었다. 2006년에 제주특별자치도가 출범하면서 서귀포시 성산읍 고성리가 되었다. 자연마을로 큰동네, 장만이동, 동남동이 있고 오름으로 대수산봉, 소수산봉이 자리잡고 있으며 오름정상에선 섭지코지, 일출봉, 우도, 지미봉등이 멋지게 조망된다. [출처] 한국학중앙연..

탐라 Bike Tour 16(명월리-상대리-동명리-한림리-옹포리)+60

1. 명월리(明月里)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한림읍에 속한 행정리. 옛 이름은 밝은달이라는 고유어로 불리다, 명월진이 세워진 뒤에 명월이라 하였다. 19세기 초반 명월이 마을 이름으로 정착하였고, 20세기 초반까지 서멩월[西明月]이라 하다 1905년 이후 ‘서’자를 빼고 명월이라 하였다. 1300년경 제주에 동·서현을 설치할 때 명월현이 되었다. 1608년 조선시대 방리제가 설치되자 명월은 우면의 소재지가 되었다. 분리되기 이전에는 현재의 상명리·동명리·금악리를 포함한 마을이었으며, 2007년 7월 제주특별자치도가 되어 제주시 한림읍에 속하게 되었다. 지형은 현무암과 조면암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내륙에서 남~서 방향으로 넓게 위치한 마을로 건남천을 중심에 두고 있다. 2006년 말 현재 면적은 5.39㎢이..

탐라 Bike Tour 15(성읍리-난산리-신산리-삼달리)+55

1. 성읍리(城邑里)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표선면에 속하는 법정리. 서귀포시 동남부에 위치한 성읍리는 조선시대 500여 년 동안 정의현(旌義縣)의 현청(縣廳)이 있었던 유서 깊은 마을이다. 마을 중심지는 현재 중요민속자료 재188호 성읍민속마을로 지정되어 있다. 성읍리의 옛 이름은 ‘진사을’이라 하여 '진사리(眞舍里)’ 또는 ‘진사리(晉舍里)’로 표기하였다. ‘진사’의 뜻은 확실하지 않다. 1423년(세종 5) 성산읍(城山邑) 고성리(古城里)에 있던 정의현(旌義縣)의 현청을 이 마을로 옮겨오면서 성을 쌓았다. 이후 정의성 주변에 형성된 마을을 ‘정읫골’과 ‘성읍(城邑)’, ‘읍외촌(邑外村)’ 등으로 부르다가 18세기부터 ‘성읍리’로 정착하였다. 2006년 7월 1일부터 제주특별자치도가 시행되면서 남제..

탐라 Bike Tour 14(두모리-한원리-용수리-용당리-신창리)+51

1. 두모리 [ 頭毛里 ] 제주시 한경면에 있는 마을로 옛 이름은 두못개 또는 두묏개이다. 두모나 두무의 음성을 한자어로 표기한 것으로 두모는 둥글다는 뜻으로 보인다. 대략 16세기 말 마을이 취락이 형성되었고. 본래 제주군 구우면 지역으로 두모·두모촌·뒤미·디미라 하였는데, 1946년 북제주군에 편입되고, 1956년 한경면에 편입되었다. 지형적으로 함몰된 오목한 곳이 많아 물이 풍부하다. 자연 연못인 멋물이 예전에는 산간 식수 및 우마의 급수로 이용되어 왔으나 지금은 멋물 쌈지공원으로 조성되어 지역주민들이나 외부인들이 찾아와 편히 쉴 수 있는 공간이 조성 되었다. 동쪽으로 금등, 판포, 서쪽으론 신창, 남쪽으론 조수 마을과 경계하고 주 소득원은 마늘,감자,양배추 등이고 두모포구에서 어업도 이루어지고 있..